SAP 재고 실사 관련 주요 T-Code 정리
SAP에서 재고 실사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주요 트랜잭션 코드(T-Code)는 다음과 같음.
1. 물리적 재고 실사 관리
(1) MI01 – 물리적 재고 문서 생성 (Create Physical Inventory Document)
- 새로운 물리적 재고 문서를 생성하여 실사할 자재 및 저장 위치를 지정.
(2) MI02 – 물리적 재고 문서 변경 (Change Physical Inventory Document)
- 이미 생성된 재고 문서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로 변경.
(3) MI03 – 물리적 재고 문서 조회 (Display Physical Inventory Document)
- 기존에 생성된 물리적 재고 문서를 확인하고 검토.
(4) MI04 – 물리적 재고 수량 입력 (Enter Physical Inventory Count)
- 실사를 통해 확인된 실제 재고 수량을 시스템에 입력.
(5) MI05 – 물리적 재고 차이 조회 (Display Physical Inventory Differences)
- 시스템상의 재고와 실사 결과 간의 차이를 확인.
2. 재고 차이 조정 및 처리
(1) MI07 – 물리적 재고 차이 반영 (Post Physical Inventory Differences)
- 실사 결과를 기반으로 시스템 재고 데이터를 조정(추가, 감소).
(2) MI08 – 물리적 재고 차이 취소 (Cancel Physical Inventory Differences)
- 잘못 반영된 재고 차이를 취소하여 데이터를 원상태로 복구.
3. 실사 프로세스 지원 도구
(1) MI09 – 물리적 재고 문서 재계산 (Recount Physical Inventory Document)
- 실사 결과가 불명확하거나 오류가 있을 경우 재실사 요청 문서를 생성.
(2) MI20 – 물리적 재고 개요 보고서 (Physical Inventory List)
- 물리적 재고 문서와 실사 결과를 요약한 보고서를 생성 및 확인.
(3) MB51 – 자재 문서 조회 (Material Document List)
- 실사와 관련된 자재 이동 기록을 추적 및 검토.
4. 재고 상태 확인 및 분석
(1) MB52 – 저장 위치별 재고 현황 조회 (List of Warehouse Stocks by Storage Location)
- 지정된 저장 위치의 자재별 재고 상태를 확인.
(2) MMBE – 재고 상세 현황 조회 (Stock Overview)
- 자재의 저장 위치, 배치, 예약 상태 등을 포함한 재고 상태를 상세히 조회.
(3) MC.1 – 재고 가치 분석 (Inventory Analysis)
- 재고의 가치 및 수량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.
5. 실사 자동화 및 개선 관련 T-Code
(1) LX26 – 주기적 실사 (Cycle Counting)
- 자재의 ABC 분석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사할 자재를 선택 및 관리.
(2) LI21 – 창고 관리 재고 차이 반영 (Post Inventory Differences in Warehouse Management)
- 창고 관리(WM) 환경에서 재고 차이를 처리.
(3) LI11N – 창고 관리 재고 확인 (Confirm Inventory Count in Warehouse Management)
- 창고 관리에서 실사 결과를 확인하고 처리.
6. 참고 사항
- 재고 실사 과정에서 MI01 → MI04 → MI07의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임.
- 정확한 실사를 위해 T-Code 사용 전 마스터 데이터와 자재 이동 기록을 꼼꼼히 검토해야 함.
- 실사 전/후 데이터를 검토하고 필요 시 재실사 요청(MI09)을 활용해 오류를 방지해야 함.
SAP의 T-Code는 재고 실사의 효율성을 높이고, 시스템과 실제 재고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임.